
제5차 국토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첨부된 자료는 국토연구원에서 발간한 자료입니다.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면 자료가 열리거나 다운로드 됩니다.
그러면 프린트나 저장하실 수 있습니다.
http://library.krihs.re.kr/upload/publication/publication/0000083861.pdf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
제4차 국토종합계획이 2020년 만료되고, 2021년부터는 제5차 국토종합계획 (2021~2040) 기간 시작
향후 20년은 특히 많은 여건변화가 예상되므로 패러다임변화에 따른 국토장기발전방 향과 정책과제에 대한 조기 공론화가 필요
미래 국토 각 분야의 장기발전방향을 검토해 보고 향후 추진과제 등을 시험적으로 발굴하여 논의의 장 마련
본 연구보고서의 정책제안
국토종합계획은 무용론 등 도전과 위협이 있으나 불확실성 극복을 위한 장기국토전략, 정책의 일관성과 연속성, 새로운 공간정책수요 대응 필요성 등 편익이 더 큼
국토종합계획의 성격은 비전・지침・가이드라인 제시형 20년 주기 계획과 실천・목표・전략 제시형 5년 주기 중기전략계획의 이중전략이 적절
국토종합계획은 최상위 지침, 방향제시자, 시스템통합자, 초지역・범국가지역・낙후지역 관리・지원, 국민생활향상, 노후 인프라 정비・개선, 국가경갱력 강화 역할
국민참여형・기후변화・제4차산업혁명・재해재난에 대비하고 분산적・분권적・자족적 국토 공간구조형성과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방향으로 추진
이를 위해 국토공간구조와 경쟁력 강화, 국토의 효율적・생산적 이용과 관리, 국민 삶의 질 개선과 국토환경의 지속가능한 발전, 제도적 기반 정비 등 사전 추진